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투자! 이보다 더 쉬울 순 없습니다
그동안 유로존은 우크라이나 사태발 에너지 위기와 맞물리면서 미국과 함께 전세계 침체 불안을 유발해온 상황. 이 때문에 유로화는 급격히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초강세를 연출하게 만들었으나, 현재는 유로화의 분위기 전환이 감지되고 있는 모습.
21 일 ECB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25bp 인상이 아닌 50bp 인상으로 연준과 정책 스탭을 어느정도 맞춰야 한다는 쪽으로 시장의 무게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유로화 강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부분. 유로존의 미국에 비해 경기 펀더멘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만큼, 성장과 물가 안정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자체가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지금은 인플레이션에 경제와 금융시장이 종속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ECB 또한 물가 및 환율 안정에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예상. 더 나아가, EU 에서 대 러시아 제재를 일부 완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에서는 유럽 내 공급의 약 30%대를 담당하는 노르트스트림 1 가스관을 21 일 정기점검 종료 후 재가동 시키기로 결정했다는 점도 눈에 띄는 부분.. 양 대륙의 이 같은 조치가 직접적인 조기 휴전의 신호탄이라고 보기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유럽을 둘러싼 경제 및 에너지 위기가 추가 악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한편, 연초 이후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달성 연이은 실패, 침체 리스크 점증, 주식시장 약세장 진입 등 악재가 누적되고 있다보니 (최근 반등하긴 했지만) 투자자들의 심리는 비관론 우위에 있는 상황. 7 월 BofA 의 글로벌 기관 서베이에서도 현재 체감하고 있는 위험 수준이 ‘08 년 10 월 금융위기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인 현금 보유 비중은 6.1%로 금융위기, 판데믹을 넘어서 ‘01 년 10 닷컴버블 당시 급으로 높아진 것으로 확인. 향후에도 7 월 FOMC, 빅테크주들의 실적 등 대형 이벤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긴 하나, 현재의 비관론은 여전히 극단에 쏠려 있는 만큼 현금비중 확대 전략은 후순위로 두어야 한다는 기존의 관점을 유지. 전일 애플의 긴축 경영 악재 등으로 혼재된 모습을 보였던 국내 증시(-0.2%, +0.7%)는 금일 가스 공급, 유로화 강세 등 유럽발 호재,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4.6%) 급등, 역외 원/달러 환율 급락(-8 원) 등에 힘입어 반도체 등 대형주들에 대한 외국인 수급을 호전시키면서 강세를 보일 전망. 또한 넷플릭스의 경우, 지난 1 분기 실적시즌 당시 가입자수 쇼크로 35%대의 폭락세를 연출하기도 했지만, 금일 장 마감 후 발표한 2 분기 신규 가입수 감소폭이 100 만명으로 시장 컨센(200 만명 감소)을 대폭 하회했다는 소식으로 시간외에서 7%대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 이를 감안 시 관련 콘텐츠주를 포함한 성장주들의 투자심리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