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투자! 이보다 더 쉬울 순 없습니다
공포 보다는 호재에 반응 시작
MSCI 한국 지수 ETF 는 7.21% MSCI 신흥 지수 ETF 는 6.89% 상승했다.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2,155 계약 순매수한 가운데 4.90pt 상승한 229.30pt 로 마감했다. NDF 달러/원 환율 1 개월물은 1,236.00 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8 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일 한국에서는 미 증시 급락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장 중 한때 상승 전환하는 등 견고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오늘 미 증시가 연준의 CP 매입을 발표하는 등 호재성 재료에 힘입어 급등한 점을 감안 한국 증시는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최근 코로나 공포에 잠식돼 호재성 재료가 반영되지 못했다면, 오늘은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호재성 재료가 시장에 반영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국제유가가 급락하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 그리고 미국 코로나 확진자 급증은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가운데 아마존(+7.03%)이 급증하는 필수 품목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 10 만명의 신입사원 및 파트타임 직원을 고용하려고 한다는 보도로 급등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의 이동이 줄고, 모든 것을 온라인을 통해 처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사회 변화를 야기시켜 온라인 기반 기업들의 매출 증가 기대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미국 코로나 확진자 수가 전일 보다 1,600 여명 급증한 5,702 명을 기록하는 등 확진자 수 급증으로 항공, 자동차, 호텔 등 이동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경우 급락했다는 점을 감안 이러한 종목별, 업종별 차별화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